전립선비대와 요도의 폐색는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가 있다. 오늘은 전립선비대의 형태적 차이가 요도폐색(전립선 요도압박)의 차이를 유발하는가에 대한 내용을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다.
전립선비대증의 증상은 다양할 뿐 아니라 증상과 방광출구 폐색은 전립선 크기와 상관관계가 일정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전립선비대 환자마다의 전립선피막의 차이, 전립선 이행대의 상대적 비대 정도의 차이, 전립선 비대 모양의 차이들이 연구 되어 왔다.
전립선의 비대는 주로 중심대(정중엽)와 이행대(측부엽)에서 발생하며 이부위는 전립선 요도를 직접 둘러싸는 위치에 해당한다.
전립선비대의 모양은 위 그림과 같이 6가지 타입으로 나타나며 type 1, 2, 3가 주를 이룬다.
Type 2와 3이 다른 type보다 요속감속가 더 심하게 나타나며 이는 전립선 비대조직의 방광내 돌출과 연관이 있다.
이렇 듯 단순히 전립선비대는 크기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며 비대의 형태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더조은비뇨기과 원장 이승찬
홈페이지 pc : www.uro119.com mobile: uro119.modoo.at/
주소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강서로 116 준호빌딩 2층 (가경동 하이마트 뒷편)
연락처 043) 238-1119
'전립선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비뇨기과/의학박사 이승찬] 전립선비대증이 모든 배뇨증상의 원인인가? (0) | 2014.11.25 |
---|---|
[청주비뇨기과/의학박사 이승찬] 전립선의 크기와 배뇨증상은 일치하는가? (0) | 2014.07.16 |
[청주비뇨기과/의학박사 이승찬] 소변줄기가 약하다, 소변이 힘이 없다, 이유는? (0) | 2014.07.15 |
[청주비뇨기과/의학박사 이승찬] 배뇨근 저활동성(배뇨근 수축력 저하)의 유병률 (0) | 2014.07.10 |
[청주비뇨기과/의학박사 이승찬] 전립선비대증은 얼마나 많은가?/전립선비대증의 유병률 (0) | 2014.07.10 |